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견의표층근 3편 - 그래도 알아놓으면 간지나요.
    독학 가능한 < 애견미용 이론공부 >/이제는 해부학이다! 용어 "쉽게" 하기 2020. 2. 22. 14:16

    21. 반건양근(반힘줄모양근)

    허벅지 뒷쪽의 햄스트링이라는 근육군을 이루는 근육중 하나입니다.

    밑의 대퇴두근과 묶어서 설명하겠습니다.

     

     

    22. 대퇴이두근(넙다리두갈래근)

    대퇴이두

    허벅지쪽의 (대퇴) 머리가 (근육시작점) 2개근육 이라는 뜻입니다.

     

    허벅지 뒷쪽의 근육 다발을 묶어서 햄스트링이라고 부르는데 무릎을 굽혀주는 근육입니다.

     

    다리 안쪽에서 부터 반막양근, 반건양근 ,대퇴이두근 순으로 위치합니다.

     반막양근은 이그림에서는 안나오니 패쓰하고.

    그러므로 21번이 더 안쪽에 있는 반건양근이고

    22번이 그보다 몸바깥쪽에 있으므로 대퇴이두근이 됩니다.

     

     

    23. 천전근(얕은 둔부근)

     

     

     엉덩이근육, 둔근, 여기서 부르는 말로 전근은 골반 뒤쪽에 붙어있습니다.

    엉덩이의 근육은 우리가 서 있을 때 몸의 균형을 잡아주고 한쪽 발로 섰을 때

    골반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엉덩이근육을 그래서 한자로

    안정하게 하다라는 한자를 써서 '전근'이라고도 합니다.

     

     

    전근 = 둔근(엉덩이근육)

     

     

     

    천전근은

     

    얕을 천 殿 안정하게 하다 전 힘줄 근  을 쓰고,

     

    가장 얕은 곳의 안정시키는 근육 이라는 뜻입니다.

     

     

     

     

     

     

     

    24. 대퇴근막장근(대퇴근막긴장근)

     

     

    고관절(골반)을 접을수 있게 해주고 둔근과 함께 골반의 안정화를 담당합니다.

    말그대로 대퇴(허벅지)부의 근막을 긴장하게 만들어주는 근육입니다. 

     

     

    25. 중전근(중간 둔부근)

    가운데 중 殿 안정하게 하다 전 힘줄 근

     

    중간 엉덩이 근육입니다.

     

    우리가 외울 엉덩이 근육이 2개 밖에 없으니

    그림에서 엉덩이쪽에서 작은 근육을 물으면 23번을 천전근

    큰 근육을 물으면 25번은 중전근 이라고 이해하시고 외우면 될듯하네요.

     

     

     

     

     

    26. 광배근(넓은 등근)

     

    남자 사람을 역삼각형으로 보이게 만드는 바로 그 근육입니다.

    넓을 광 자에 등배 힘줄 근을 써서 넓은 등 근육이라는 뜻입니다.

     

     

     

     

    27. 상완삼두근,장두(상완세갈래근)

     

     

     조금더 잘보이는 그림으로 봅시다.

    붉은색으로 표시한 것이 상완 삼두근, 삼두입니다.

     

    컬러감이 있고 근육이 볼륨이 있어서 좀더 잘 보이시죠?

     

    사람처럼 앞발의 뒤쪽에 붙어있는 근육입니다.

    사람도 동일하게 삼두근 이라고 합니다.

     

    이름에 삼자가 실제로 3을의미하며 세갈래로 갈라진 근육이라는 뜻이고

    장두도 그 세갈래 갈라진 것중 가장 긴 부분을 뜻하기 떄문입니다.

     

    28. 승모근흉부(등세모근 가슴부분)

     

     

    여자분들이라면 목이 드러나는 옷을 입을때 목쪽 에 불룩 솟은 승모근떄문에 스트레스 받기도 하실겁니다.

    바로 우리가 아는 그 승모근과 동일합니다. 다만 약간 다른부분도 있습니다.

    아래 승모근 경부와 묶어서 한꺼번에 봅시다 아래로 고고!

     

     

     

    29. 승모근경부(등세모근 목부분)

     

     

    자 사람도 마찬가지로 승모근은 목부터 가슴을 지나 배정도 까지로 이어지는 큰 근육입니다.

     

    사람은 저렇게 근육위치로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부르는 대신, 

     

    는 근육이 있는 위치인

    경부 승모근 (경) - 목부분 승모근

    흉부 승모근 (가슴흉) -가슴부분 승모근 으로 나누었네요. 

     

     

    30. 경복거근(배톱니근)

     한자 보다는 한글명칭을 살펴봅시다.

    배??? 톱니근입니다.

    아무리봐도 목쪽? 인데요? 하실수 있는데요.

     

     

     

    위에 다른 근육에 덮여져 있어서 안보일 뿐. 실제 근육은 저렇기 떄문에 근육이 '' 톱니근이 될수 있는 것입니다.

    경복거근이라는 이름도

    목경, 배복 톱 거 자를 써서 목과 배쪽에 있는 톱니모양 근육이라는 뜻입니다.

     

     

     

    31. 쇄골두근,후두부(쇄골머리근)

    개는 쇄골이라는 뼈는 퇴화되어 없지만.. 쇄골에 해당하는 부위의 명칭은 그대로 쓰네요

    쇄골은 쉬우니 인간사진이랑 비교해서 이해하시기만 할거 같네요.

     

     

     

     

    32.교근(깨물근)

    얼굴형을 V라인으로 만들기 위해서 턱에 보톡스를 맞곤 하죠.

    그때 맞는 자리가 바로 교근입니다.

    한자 咬 물다,깨물다 '교' 를 씁니다.

     

    근육 사진만 보면 너무 입에서 떨어진게 아닌가 싶은데

     개의 아랫 턱뼈 위치를 보시면 바로 저기가 맞구나 하실겁니다.

     

     

     

     

     

     

Designed by Tistory.